티스토리 뷰
목차
전기차 보조금은 지자체 별로 다릅니다. 원하는 지역의 전기차 보조금 조회는 아래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단,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보조금이 이미 모두 소진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실시간 보조금 현황 조회'를 통해서 보조금 신청이 가능한지 미리 조회해보세요.
전기차 보조금 기본 구조
전기차 보조금은 크게 국고보조금과 지방비보조금(지자체 보조금)으로 나뉩니다.
- 국고보조금: 환경부에서 지원하는 전국 공통 보조금
- 지방비보조금: 각 지방자치단체(시·도, 시·군·구)에서 추가로 지원하는 보조금
- 최대 지원액: 국고+지자체 보조금을 합쳐 최대 630만원까지 지원 가능 (지역별 상이)
보조금 조회 방법
1. 공식 조회 사이트 활용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ev.or.kr)
- 가장 공식적이고 정확한 정보 제공
- 지자체별 보조금 지급 현황 실시간 확인 가능
- 보조금 지급 대상 차종 조회 가능
현대자동차/기아 보조금 조회 페이지
- 브랜드별 차종에 따른 보조금 정보 제공
- 지역별 보조금 간편 검색 기능
2. 실시간 잔여 현황 조회 사이트
도넛(donut.im), 롱레인지(longrange.gg) 등의 사이트에서는 지역별 전기차 보조금 잔여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지자체 홈페이지 직접 확인
각 시·도 및 시·군·구 홈페이지에서 해당 연도 전기차 보조금 공고문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보조금 신청 절차 및 방법
단계별 신청 프로세스
1단계: 사전 준비
- 거주지 관할 지자체의 보조금 공고문 확인
- 신청 기간 및 예산 잔여량 체크
- 구매 예정 차량의 보조금 지원 대상 여부 확인
2단계: 보조금 신청
- 자동차 제조·수입사와 구매 계약 체결
- 제조·수입사가 지자체에 보조금 신청서 제출
- 신청서 접수 및 대상자 선정 대기
3단계: 자격 부여
- 지자체에서 보조금 지원 자격 부여
- 자격 부여일로부터 2개월 이내 출고·등록 완료 필요
4단계: 차량 출고 및 등록
- 차량 출고 후 10일 이내 차량 등록
- 등록 후 10일 이내 증빙서류 지자체 제출
5단계: 보조금 지급
- 지자체에서 증빙서류 검토 (14일 이내)
- 보조금 직접 지급 (제조사를 통해)
필요 서류
신청 시 필요 서류
- 전기차 구매 지원 신청서
- 주민등록등본 (최근 3개월 이내 발급)
- 사업자등록증 (법인 신청 시)
- 기타 지자체별 요구 서류
보조금 지급 신청 시 필요 서류
- 지급신청서
- 차량등록증
- 세금계산서
- 제조·수입사 사업자등록증
- 제조·수입사 통장 사본
- 기타 요구 서류
지역별 보조금 현황 (2025년 기준)
수도권
- 서울시: 최대 630만원 (국고 + 지방비)
- 경기도: 지역별 상이 (시·군별 추가 지원)
- 인천시: 지역구별 보조금 상이
주요 광역시
- 부산시: 국고 + 지방비 합산 지원
- 대구시: 지역별 보조금 정책 운영
- 광주시: 친환경차 확산 정책에 따른 지원
※ 구체적인 금액은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최신 공고문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의사항 및 팁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예산 소진 주의
- 대부분의 지자체가 선착순으로 운영
-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가능
- 특히 인기 차종은 빠른 마감 예상
출고 기간 준수
- 자격 부여일로부터 2개월 이내 출고 필수
- 기간 내 출고하지 못하면 자격 취소
- 차량 등록 후 10일 이내 서류 제출 필수
중복 지원 불가
- 동일 차량에 대해 타 지자체 보조금과 중복 수혜 불가
- 이전 보조금 수혜 차량 처분 조건 확인 필요
성공적인 신청을 위한 팁
- 사전 조사 철저히: 해당 지자체의 보조금 정책과 신청 조건을 미리 파악
- 신청 시기 조율: 연초나 예산 배정 직후가 승인 가능성 높음
- 서류 준비 완벽히: 미비한 서류로 인한 지연 방지
- 출고 일정 조율: 제조사와 출고 일정을 사전에 협의
- 연락처 확인: 신청 과정에서 연락 가능한 번호 정확히 기재
문의처 및 추가 정보
주요 문의처
-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콜센터: 1661-0970
- 한국자동차환경협회: 1661-9408
- 각 지자체 환경 관련 부서: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 참조
추가 정보 확인 사이트
-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ev.or.kr
-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easylaw.go.kr
- 각 지자체 공식 홈페이지
전기차 구매와 보조금 신청은 복잡한 과정이지만, 차근차근 준비한다면 충분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조급해하지 마시고 체계적으로 접근하시기 바랍니다.